SMALL

2025/04 3

Yale Bright Star Catalog 데이터 읽기 (개선된 방법)

최근에 Yale Bright Star Catalog(예일 밝은 별 목록, YBSC) 데이터를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의 형태로 입수하여 그 파일을 읽고 관련 표출을 해보는 방법을 총 4회에 걸쳐서 연재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전달하고자 했던 모든 내용들은 이미 다 소개가 된 상태입니다. 다만 이번에 또 YBSC 데이터 읽기라는 타이틀로 또 다른 게시물을 올리게 된 이유는, 해당 바이너리 파일을 IDL에서 읽고 그 데이터를 배열로 가져오는데 있어서 이미 소개된 READ_BINARY 함수를 주로 사용하는 방식 외에도 또 다른 방식들이 있다는 것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방법들을 자세히 소개해보기로 하겠습니다. 방금 언급했듯이 기존에 소개했던 방식은 주로 R..

IDL/Programming 2025.04.15

Yale Bright Star Catalog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기 [4]

지난 회차 게시물에서는 Yale Bright Star Catalog(예일 밝은 별 목록, YBSC) 공식 웹페이지에서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IDL에서 배열로 읽어들이고, 별들의 좌표 데이터(RA, Dec)를 이용하여 별들을 맵(Map) 상에 표시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작업에서는 기본적으로 IDL의 지도 표출 기능을 사용하였습니다. 다만 경도 및 위도 대신 RA 및 Dec 좌표값들이 표시되어야 하는 천체 지도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라벨 문자들의 표시 내용 맟 형식을 유저가 직접 커스터마이즈하는 역할을 하는 함수형 부프로그램(mapgrid_labels_bsc5.pro)을 별도로 제작하여 활용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동원하여 지난 회차에서 표출했던 그림을..

IDL/Programming 2025.04.08

Yale Bright Star Catalog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기 [3]

지난 회차 게시물들(링크1, 링크2)에서는 Yale Bright Star Catalog(예일 밝은 별 목록, YBSC) 목록자료를 공식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바이너리 파일로 받아서 파일 내에 수록된 데이터를 IDL에서 배열로 읽어들이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래서 5종의 항목들(일련번호, RA, Dec, Spectral type, V magnitude) 각각에 해당되는 cnums, ra_degs, dec_degs, types, vmags 배열들을 획득하였고 이들을 .sav 파일에 저장해두는 과정까지 완료된 상태입니다. 이제 오늘은 이 데이터를 사용한 표출 작업을 진행해볼텐데, 별들의 좌표 데이터(RA, Dec)를 이용하여 별들을 맵(Map) 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보고자 합니다. 참고로 천체..

IDL/Programming 2025.04.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