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태양의 활동영역(Active Region)은 많은 수의 흑점들이 밀집되어 있어서 자기장 구조가 매우 복잡한 태양 표면상의 영역을 뜻합니다. 플레어(Flare)와 같은 폭발적인 현상들이 발생하는 근원이 되기도 하므로, 일단 등장하면 주의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최근인 11월 초에 등장했던 NOAA 2443이라는 활동영역이 있었는데, 태양 관측용 위성인 SDO의 HMI라는 장비로 촬영되는 연속선 및 자기장 이미지는 15분 간격으로 얻어지며, SDO Data Archive에서 언제든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2443 활동영역이 잘 보였던 11월 1일부터 6일까지 6일간의 이미지 자료들을 모아서 동영상으로 만들어봤습니다.
이 동영상의 각 프레임은 상단이 연속선(Continuum) 이미지이고 하단이 자기장 맵(Magnetogram)입니다. 연속선 이미지는 가시광 파장 근처의 밴드에서 촬영되었기 때문에 육안으로 보는 느낌과 거의 비슷합니다. 그러나 자기장 맵은 극성의 (+)/(-) 여부를 구분해서 보여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각 프레임의 하단에 있는 자기장 맵에서는 초록색 부분이 (+) 극성이고 붉은색 부분이 (-)극성에 해당됩니다. 비교해서 보면 큰 흑점들이 각각 특정한 극성을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흑점들의 시간적 변화 과정이 가장 큰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전체적으로 점점 복잡한 형태를 띄면서 성장중인지, 아니면 점점 쇠퇴하는 중인지를 이러한 영상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고 있는 2443 영역의 경우는 쇠퇴중인 활동영역이라는 것을 가시적으로 충분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동영상을 보면 좌측 상단에 태양 디스크 전체의 모습이 있는데, 영상에 해당되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붉은 선의 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영상은 유튜브에 올려놓았기 때문에 그 링크를 소개합니다. 이 동영상은 IDL 8.5에서 IDLffVideoWrite 기능을 사용하여 MP4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생성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약 570여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되어 있고, 초당 30프레임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보실 때 하단의 품질을 HD로 설정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비슷한 성격의 동영상을 조만간 또 만들어 올릴 예정입니다.
LIST
'IDL > New Graph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 그래픽 함수의 주요 메서드(Method) 사용법 [2] (0) | 2015.11.30 |
---|---|
NG 그래픽 함수의 주요 메서드(Method) 사용법 [1] (0) | 2015.11.20 |
NG 체계에서 사용 가능한 컬러 이름 목록 보기 (2015. 07 버전) (0) | 2015.07.27 |
색상을 채운 플롯(Filled Plot)의 표출 [1] (0) | 2015.06.05 |
Polar Grid Image(?)를 그려봅시다 (2) | 2015.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