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 및 향후 이 블로그를 통해서 계속 게시될 일련의 게시물들은, 최근에 제가 앱스토어에 올린 SWx Monitor라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개의 목적으로 작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어플은 기본적으로 제가 코딩을 한 것이지만, 개인 차원이 아닌 제가 소속된 (주)에스이랩이라는 회사의 차원에서 제작하여 공개한 것입니다. 이 어플을 받아서 사용해보신 분들 중 상당수는 이 어플의 목적이나 컨텐츠에 대하여 여러모로 생소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충설명을 어플내에 담는 것이 마땅하지만, 내용이 다소 길어질 가능성이 커서 어플내에 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리라 판단되어 이렇게 블로그라는 보조적인 수단을 사용하게 된 점은 어플 사용자 여러분의 넓은 아량으로 이해해주시길 부탁드려 봅니다.
먼저 어플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를 좀 적어볼까 합니다. 이 내용이 지루하신 분들은 바로 이어서 올라갈 어플 사용법 게시물로 바로 넘어가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SWx는 Space Weather, 즉 '우주날씨' 혹은 '우주기상'을 뜻하는 용어인데, 아마 생소하게 느껴지실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지상에서 살면서 구름, 바람, 눈, 비와 같은 각종 날씨현상들을 겪어가며 삽니다. 그래서 주말에 나들이를 한다든가, 야구경기를 보러 간다든가 하는 경우, 항상 그 날의 날씨를 신경쓰고 이에 따라 어떻게 할 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기술이 발전해서 우리가 우주공간에서 생활을 하는 경우가 온다면,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지상에서의 날씨와 같은 그 무엇에 또 신경을 써야합니다. 그런데 우주공간에서의 날씨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은 태양의 활동입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우리가 우주공간에 살지는 않지만,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많은 테크놀로지들이 지구주변의 우주공간 및 상층대기를 주무대로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주정거장, 위성, 위성통신, 항법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이러한 영향에 놓이게 되었고, 우리의 생활도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러한 영향권에 놓이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선진국들은 이러한 영향의 가장 주 요인이 되는 태양의 활동 그리고 그 활동이 주변 우주공간 및 지구 상층대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일치감치 관심을 갖고 이에 관한 연구를 수십년전부터 진행해왔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각종 위성 및 지상 관측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자료 분석 및 연구가 필연적입니다. 그래서 미국, 유럽, 일본 등을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들이 이러한 관측장비들을 운영하고 있고, 이러한 장비들로부터 매우 다양한 자료들이 시시각각으로 쏟아져나오고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이러한 자료들은 온라인 데이터 아카이브와 같은 형태를 통하여 무료로 제공됩니다. 즉, 원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이러한 자료를 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자료들을 제대로 해석하려면 어느 정도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만, 어쨌든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련 연구자들 또는 기관들이 이러한 자료들을 받아서 나름대로의 목적을 위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일하는 (주)에스이랩 그 중 하나입니다.
SWx Monitor는 이러한 방대하고 다양한 자료들 중 대표적인 몇몇 자료들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어플에서 볼 수 있는 자료들은 사실 (주)에스이랩의 홈페이지(www.spweather.com)에서도 그대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이러한 자료들을 아이폰 또는 아이팟 터치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볼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기능을 갖고 있지만, 향후 버전업을 통하여 좀 더 스마트폰에 특화된 기능들을 넣어볼 계획입니다.
'SWx Moni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출자료 소개 (3) (0) | 2010.02.08 |
---|---|
표출자료 소개 (2) (0) | 2010.01.27 |
표출자료 소개 (1) (0) | 2010.01.27 |
SWx Monitor 사용법 동영상 (0) | 2010.01.22 |
SWx Monitor의 사용법 (0) | 2010.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