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L/Miscellaneous

IDL 도움말의 활용 방법들

이상우_IDL 2017. 2. 1. 16:33
728x90
반응형

오늘은 좀 가벼운 주제로서, IDL 도움말의 활용 방법들에 관하여 언급을 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IDL에서 도움말을 띄우려면 다음과 같이 콘솔창에서 ? 기호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웹브라우저 기반으로 도움말이 뜨게 됩니다.


IDL> ?


그런데 IDL 도움말을 보기 위해서는 항상 IDL을 먼저 실행해놔야 한다는 얘기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요. 사실 IDL 도움말을 보는 방법이 이것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IDL을 실행하지 않고 도움말만 보고자 한다면 그것도 가능합니다. IDL 도움말은 항상 웹브라우저에서 뜨는데, 사실 이것은 IDL이 설치된 디렉토리 안에 html 파일의 형태로 관련 내용들이 모두 들어있고 이를 단순히 웹브라우저에서 여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html 파일을 직접 열면 굳이 IDL을 먼저 실행하지 않더라도 도움말만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OS나 IDL의 버전마다 좀 다르겠지만, Mac OS에 설치된 IDL 8.6의 경우 도움말 html 파일의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file:///Applications/harris/envi54/idl86/help/online_help/help.htm


이러한 경로는 일단 IDL을 통하여 도움말을 띄운 상태에서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각자 이러한 경로를 확인해서 링크를 북마크에 저장해두면, 굳이 IDL을 실행하지 않아도 언제든 도움말만 웹브라우저상에서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참고로 언급한다면, 윈도우즈 10의 경우 웹브라우저가 엣지 및 익스플로러 두 종류가 지원되는데요. 항상 벌어지는 현상은 아니지만 간혹 엣지 브라우저에서 IDL 도움말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익스플로러를 열고 위와 같은 경로를 지정해주면 도움말의 내용이 온전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참조해두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IDL 도움말을 보는 또 다른 방법은 IDL 본사 웹페이지에서 직접 제공하는 IDL 도움말 링크를 보는 것입니다. 이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harrisgeospatial.com/docs/using_idl_home.html


물론 이 경우는 항상 최신 버전의 IDL을 기준으로 제공된다는 점만 염두에 두시면 됩니다.

반응형